본문 바로가기

재중5

SM시정명령, JYJ 이젠 정말로 정상적인 방송활동이 가능할까? 동방신기에서 박유천, 김재중, 김준수가 따로 나와 JYJ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이들은 2009년 SM의 부당한 전속계약의 효력을 정지시켜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고, 법원은 이를 받아 들였다. 2010년 SM은 전속계약 효력 확인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고, JYJ는 이에 대해 전속계약 효력부존재 확인 소송을 했다. 이때부터 JYJ는 SM과 오랜 법정 싸움을 해왔다. 2012년말에 2009년 7월 31일자로 전속계약을 종료하고 상호 활동을 간섭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를 했고, SM과 JYJ의 법적 분쟁은 일단락 됐다. 이때, 나는 이와 같은 내용을 언급하며 마침내 JYJ가 원활한 방송 활동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을 표시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JYJ는 그 이후로도 제대로 된 방송 활동을 하지 못했.. 2013. 7. 24.
인피니트와 김재중, 콜라보가 만든 아이돌의 신선한 진화 아이돌 음악이 가요계를 모두 접수한 시점이 있었다. 그러나 2012년 부터 확실히 가요계의 판도는 변했다. 아이돌 음악은 여전히 강세였지만 차트에는 다양한 음악들이 포진 되기 시작했다. 인디 음악, 힙합, 락등 아이돌에만 편중 되던 가요계가 풍성해 진 것이다. 그래서인지 혹자는 아이돌 시대의 종말을 예고하기도 했다. 양현석대표의 말 처럼 지난 해, 신규 진입한 아이돌 60팀이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을 보면 '아이돌 시대의 종말'은 더욱 맞는 이야기 처럼 들린다. 새로운 아이돌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것이 이제는 쉽지 않은 일이 되었다. 이는 현재 큰 성공을 거둔 아이돌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가장 성공한 아이돌인 소녀시대도 그 파장이 예전만 못한 것이 현재의 가요계다. 오직 빅뱅만이 .. 2013. 1. 23.
JYJ 소송 일단락, 이젠 음악방송 할 수 있을까? JYJ 는 한국 제일의 아이돌이었던 동방신기에서 박유천, 김재중, 김준수가 따로 나와 만든 그룹이다. 그들은 한류열풍의 중심에 있고, 연기자, 뮤지컬 연기자, 가수로서 탄탄하게 자신의 입지를 굳히며 활동 영역을 늘리고 있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이들이 방송, 특히 예능국에서 제작하는 방송에는 출연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소송'때문일 것이다. 이들은 2009년 SM의 부당한 전속계약의 효력을 정지시켜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었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2010년 SM은 전속계약 효력 확인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고, JYJ는 이에 대해 전속계약 효력부존재 확인 소송을 했다. 사실 긴 법정 다툼 속에서도 JYJ는 법정판결에 따라 이미 독자적인 활동이 가능했다. 그렇기에 뮤지컬도.. 2012. 11. 28.
보스를 지켜라,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본글은 네이트뉴스에도 올라와 있습니다. http://news.nate.com/view/20110803n18152?mid=n1101 드라마의 흥행을 점치는 것은 항상 어렵다. 반드시 성공할 것 같은 작품도 망할 수 있고, 전혀 의외의 작품이 대박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배우, 연출, 작가'의 조합을 보면 이 드라마가 어느정도 수준으로 제작될 것인지를 예측할수 있다. 예를들어 시티헌터 같은 작품은 이미 배우와 연출 작가의 조합을 보고 성공을 예측할 수 있었던 작품이다. 비록 '최고의 사랑'이 이미 왕좌를 굳건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결과적으로는 역시 성공했다. 그런점에서 '보스를 지켜라'는 성공의 가능성이 그 어느때보다 높은 작품임에 분명하다. - 연출 연출자인 손정현PD는 '파리의 .. 2011. 8. 3.
JYJ 의 외침. 이름없는 노래. 누군가는 말했습니다. 노예가 '부모님께 건물을 사드리고, 자동차를 사며, 술을 마실 수 있냐'고. 저는 이 말에 동감합니다. 당연히 우리가 생각하는 노예는 '건물을 사드릴 수도, 자동차를 살수도, 술을 마실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세상에는 또 다른 의미의 노예가 존재합니다. 바로 자신이 만들어낸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노예입니다. 저는 이런 노예들을 많이 봅니다. 길거리에서 전단을 돌리는 중고등학생 아르바이트생들을 보면 더욱 그런 생각이 듭니다. 과연 저 아이들은 최저임금은 받아가면서 일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저는 이미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제 직업상 학생들과 직접 이야기 할 기회가 많기 때문이죠. 그들은 아르바이트를 해서 자기들의 갖고 싶어하는 옷을 사기도 하고 아이들과 맛있는 것으.. 2011. 1. 24.